반응형 청소년 노동교육1 반응형 [세바시] 하종강: 노동, 우리가 알아야 할 것 올해 노동교육 수업을 준비하면서 특강을 기획했다. 하지만 청소년 친구들에게 특강은 유명세를 떠나서 강사의 유머와 재미가 성공여부를 가르기 때문에 누군가를 모시는 것이 쉽지 않았다. 그래서 온라인 강의 중 쉽게 공감이 가면서도 노동의 의미를 잘 전달할 수 있는 것을 찾게 되었다. 대한민국 사회에서 '노동'이라는 의미는 왜곡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노동자이면서 그 사람들 중 대부분이 스스로 노동자라고 인식하지 못하는 것이 단적인 예다. 노동자란 본인의 노동의 일부를 제공하고 그에 상응하는 임금을 받는 사람을 뜻하지만 우리 사회에서 노동자란 신분이 낮고 비루한 사람들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곤 한다. 하종강님은 우리 사회의 왜곡된 인식이 교육에서 비롯되었다고 이야기한다. 선진국이라고 불리는 .. 2015. 4. 18.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