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마을과경제/공동체네트워크

첫 총회, 10년의 기억

by 식인사과 2018. 5. 8.
반응형

`

설립된지 13년이 된 단체가 얼마 전 첫 총회를 했다. 초창기 설립 멤버인 '길지기'들은 학교의 시작과 함께 마을공동체 운동, 지역센터 설립 등도 함께 기획을 했기 때문에 학교가 성장하는 과정 속에서도 지역 기반의 공동체와 청년 기반의 센터도 함께 만들어지기 시작했다. 길지기 중의 몇몇 분들은 아직도 학교 운영에 많은 도움을 주고 계시는데 나는 그 분들과 가끔 가지는 술자리에서 이런 이야기를 종종 하곤 한다.


"길지기의 '미친듯한' 공공성 추구 덕분에 솔직히 실무자는 많이 힘들었어요. 하지만 타협하지 않은 그런 정신이 있었기에 더길 공동체는 이제 청소년, 청년, 지역을 기반으로 성장하는 꽤 재미있는 공동체가 된 것 같습니다." 


그 동안 배움터길은 더불어가는길 공동체 소속의 청소년교육기관의 정체성을 가지고 운영을 하고 있었다. 하지만 비영리단체의 초기 성장의 특성상 학교, 센터, 공동체의 조직의 정체성과 역할 구분이 명확하지 않아서 운영의 어려움이 많았다. 3년의 준비 끝에 머리는 하나지만 사실상 몸이 두개였던 공동체와 학교를 분리했고 학교 운영에 필요한 정관을 새롭게 만들면서 올해 3월 첫 총회도 열게 되었다.





난 13년 중 10년을 상근 교사로, 2년은 강사로 일했으니 나름 초창기부터 꾸준히 일을 해 온 셈이다. 초기에 학교 설립 과정에 함께 하지 못했지만 그 이후에 진행이 되었던 교육과정 기획 및 개편과 운영, 각 종 운영위원회 참여, 공동체 이사회 참여, 센터 개편 초기 기획, 10주년 행사 기획 등 여러 단위에 참여하면서 참 많은 일을 했다. 학교 외부에서는 대안학교연극축제도 만들고 한글축제도 만들고 연극 공연도 올리고 소소하게 강연도 다니면서 나름 열심히 살았던 것 같다.






학교 운영이 항상 잘 되었던 것은 아니다. 지금도 딱히 잘 되고 있냐고 누군가 물어보신다면 당당하게 '네'라고 답하기 어렵다. 변수는 언제나 예상치 못한 곳에서 발생하고 그럴 때마다 제도와 규칙보다 대화와 문화로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는 배움터길의 모습은 외부에서 바라볼 때 아마추어처럼 비춰지는 경우도 많다. 하지만 그런 노력들이 밑거름이 되어 이제는 어떠한 위기 순간에도 대화를 포기하지 않는 단체가 되었다고 생각한다. 대화를 포기하지 않는 건 문제 해결과정에서 매우 답답해 보일 수 있지만 사실상 유일한 해결책이기도 하다.





총회가 끝나고 총회를 준비했던 멤버들과 뒤풀이를 했다. 오고가는 다양한 이야기 속에 감사한 마음을 주고 받는 시간이어서 좋았다. 요즘 꼰대에 대한 글들이 인터넷에 많이 올라오고 있지만 연륜과 경륜을 자랑하지 않고 공유하는 사람들과 함께 하는 술자리는 언제나 즐겁다. 





간혹 대안학교 교사의 적은 월급으로 사는 게 힘들지 않냐는 질문을 받을 때가 있다. 실제로 대안학교 교사 10년차가 되어도 실급여 200만원을 넘게 받는 곳은 많지 않고 우리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내가 대안학교에서 계속 일을 하고 있는 이유는 돈으로 치환할 수 없는 좋은 가치와 문화 속에서 살 수 있기 때문이다. '돈으로 살 수 없는 것들'을 대부분 돈으로 살 수 있는 자본주의 사회에서 수평적 문화와 자율적인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공동체 문화를 몸 속 깊숙이 느낄 수 있는 곳은 생각보다 많지 않다. 오래오래 재미있게, 천천히 행복하게 일해야지.

반응형

댓글